리더들이 몰래 읽는 한비자
리더를 기르는 한비의 ‘인간심리 보고서’
“이 세상은 지배하려는 자와
지배당하지 않으려는 자의 심리 전쟁터이다”
동양의 위대한 철학자 중에 ‘한비’만큼 인간의 내면을 현미경처럼 들여다보고 냉혹하게 분석해낸 이는 드물다. 공자, 맹자, 노자, 장자가 마땅히 사람이 가야 할 길을 밝혀주었다면, 한비는 사람 마음의 깊은 어둠, 제 이익을 무엇보다도 먼저 챙기고자 하는 본능, 약한 것을 밟고 올라서려는 비정함, 탐욕, 야비함 등을 가감없이 까발리고 있다. 인간의 어두운 면을 분석한 한 편의 ‘인간심리 보고서’를 읽는 느낌이다. 어쩌면 한비의 이런 비정한 인간관이 그를 성현의 반열에 선뜻 올려놓지 못하는 이유인지도 모르겠다.
그런데 한비는 어떻게 하여 이런 식의 글쓰기를 했을까? 한비는 전국시대 약소국의 하나인 한나라 왕손으로 태어났지만, 서출이었다. 어머니가 천한 후궁이었다는 일종의 열등감과 그에 따른 갈등이 큰 영향을 끼쳤을 것이라고 사람들은 말한다. 그럼에도 그는 법과 술을 군주에게 가르쳐서, 그들이 평화롭고 부강한 나라를 만들도록 돕는 것을 평생의 업으로 삼았다.
〈한비자〉에는 군주, 곧 리더를 가르치기 위한 여러 사례들이 풍부하게 나온다. ‘창과 방패’, ‘송나라 농부와 토끼’, ‘화씨벽’ 등 중국 고대부터 전해져내려오는 이야기들을 쓰임에 맞게 들려주며, 군주의 입장에서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지를 적확하게 설명하고 있다. 그럼에도 고개를 갸우뚱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거짓말과 속임수를 써서 상대방의 수상한 점을 시험해보면 숨겨진 나쁜 짓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견해는 군주가 ‘법, 술, 세’를 이용하여 신하들을 통제할 수 있는 방책인데, 공자의 사상에 익숙한 우리들에게는 조금 낯설고 불편하다. 사실 군주와 신하의 관계는, 현대사회에서는 오너와 직원, 상사와 부하직원의 관계로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한비자〉는 지배하려는 자와 지배당하지 않으려는 자의 심리전쟁으로도 읽힌다.
그러함에도 〈한비자〉는 끝까지 책을 손에서 내려놓을 수가 없다. 사람의 관계는 큰산의 능선처럼 끝없이 변화하기 때문이다. 내가 군주(리더)로도, 신하(부하)로도 얼마든지 치환되어 읽힌다. 〈한비자〉는 읽는 이로 하여금 군주도 되어보고 신하의 입장도 되어보게 하면서, 달의 뒷면 같은 인간의 어두운 면까지 인정하고 받아들이게 한다. 그리하여 품이 넓은 리더, 사람을 이해하는 리더로 거듭나게 만든다.
저자는 〈리더들이 몰래 읽는 한비자〉이지만, 리더들, 앞으로 리더가 될 현대인들이 진정한 리더로 거듭나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아 이 책을 썼다고 한다. 〈한비자〉 총 55편 중 현대적 의의가 있는 부분들을 발췌, 완역하고 해설하여 이해를 도왔다.
한덕수
충북 진천에서 태어나 한양대학교에서 경영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평생 사업을 하며 경영일선에서 치열한 나날을 보냈다. 그러면서도 지식과 학문에 대한 갈증으로 인쇄된 종이 냄새를 잊어본 적이 없다. 30대 이후 동양고전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의 인문서적을 탐독하다가 2018년부터 본격적인 글쓰기를 시작했다.
2022년에 계간 시 전문지 《사이펀》의 신인문학상에 시가 당선되어 등단했다. 그간 지은 책으로 산문집 『버릴 줄 아는 용기』(2019년), 시집 『진정한 나의 것』(2020년)이 있고, 주역을 해제한 『주역 강독』(2024년)을 출간했다. 지금은 《C1NEWS》 논설위원으로 재임하며글을 쓰고 있다. 동양철학에 담긴 지혜를 깨닫고 통찰하는 즐거움으로 풍요로운 새 삶을 맞이하는 중이다.
서문?군주의 길을 물어 리더로 거듭나다 ?5
이병二柄 상벌이라는 두 개의 칼자루 ?15 // 오두五? 나라를 좀먹는 다섯 가지 ?25 // 현학顯學 전혀 쓸모없는 학문 ?51 // 난언難言 직언의 어려움 ?61 // 십과十過 군주의 열 가지 잘못 ?66 // 고분孤憤 홀로 불만에 가득 찬 마음 ?93 // 세난說難 군주를 설득하는 어려움 ?103 // 화씨和氏 옥을 바치고 다리가 잘린 변화卞和 ?113 // 간겁시신姦劫?臣 간사함으로 군주를 해치는 신하 ?120
망징亡徵 나라가 망하는 조짐 ?128 // 삼수三守 군주의 세 가지 철칙 ?138 // 비내備內 측근을 경계하라 ?144 // 식사飾邪 사악한행위를 경계하라 ?151 // 안위安危 나라의 안정과 혼란 ?158 // 수도守道 나라를 지키는 방법 ?165 // 용인用人 인재를 쓰는 방법 ?170 // 해로解老 노자의 이론을 해석하다 ?178 // 유로?老 노자의 사상을 설명하다 ?190 // 설림說林?上 이야기의 숲 ?202 // 설림說林?下 서른일곱 가지의 고사 ?209 // 내저설內儲說?上 신하를 통솔하는 일곱 가지 ?219 // 내저설內儲說?下 군주가 주의해야 하는 여섯 가지 ? 231
외저설外儲說?左上 언행의 효용 사례 ?242 // 외저설外儲說?左下 언행의 사상적인 사례 ?261 // 외저설外儲說?右上 군주가 가져야 하는 권세와 통치술 ?276 // 외저설外儲說?右下 군주가 견지해야 하는 원칙 ?289 // 난難?一 ?하나씩 고치는 데는 한계가 있다 ?300 // 난難?二 수치를 씻어내는 어려움 ?304 // 난難?三 지혜로는 모두를 알지 못한다 ?308 // 난難?四 사면의 어려움 ?312 // 애신愛臣 총애하는 신하의 폐단 ?317 // 주도主道 군주가 지켜야 하는 도리 ?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