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의 자유와 행복
행복의 전제 조건, ‘자유’
인식의 한계로부터 자유 … 묻고, 따지고, 사유하라
장자(莊子)는 전국시대의 혼란스런 삶 속에서도 자유를 꿈꾸고, 자유를 노래하고, 자유를 사유한 철학자다. 그가 생각하는 행복의 절대 조건은 자유다. 철학적 사유의 출발점이 자유라면, 행복은 그것의 궁극적인 목적이라 할 수 있다.
장자는 혼란스러운 시대 속에서 삶의 주체성을 박탈당하지 않으려면 허명(虛名)을 벗어던져야 한다고 말한다. 장자의 우언(寓言)에 담긴 삶의 철학은 우리에게 여전히 유효하다. 이 책은 장자의 사유를 통해 현대인의 자유와 행복을 이야기한다. 장자의 다채로운 이야기로 현대사회의 병폐를 꼬집으며 무엇에도 구속되지 않는 온전한 삶의 길로 안내한다. 장자철학에서 자유는 행복의 전제 조건이다. 행복한 삶에 이르기 위해서는 인식의 한계로부터 자유로워져야 하고, 자유를 구속하는 감옥에서 벗어나야 한다. 인간은 자유로운 자기로서 온전히 존재할 때 비로소 행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장자철학에서 도출되는 자유 개념은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하나는 ‘∼로부터의 자유’고, 다른 하나는 ‘∼에로의 자유’다. 전자는 일반적인 자유 개념이고, 후자는 장자철학에서 발견되는 절대 자유라는 독특한 개념이다. 절대 자유란 ‘∼로부터의 자유’와는 차원이 다른 개념으로 삶과 죽음을 초극해서 죽지도 않고 살지도 않는 경지에 이르는 것이다.
이 책의 주제어는 ‘지식과 행복’, ‘자유와 행복’ 두 가지다. 장자에 따르면 지식은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행복의 지침이 되기도 하고 재앙을 부르는 화근덩어리가 되기도 한다. 우리가 알고 있는 지식이 자유를 구속하고 행복의 길을 차단하는 것인지 열어 주는 것인지 알기 위해서는 소크라테스의 조언에 따라 끊임없이 묻고 따지고 사유해야 한다. 묻고, 따지고, 사유하는 것이 바로 철학함의 방법이다.
박혜순
서강대학교 철학과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책임연구원이며, 생태·생명위기의 해법을 모색하고 있다. 서강대학교, 국민대학교 등에서 강의하고, 서강대학교CTL 주관으로 진행한 ‘고전 100권 읽기’의 저변 확대에 힘쓰고 있다. 저서로 『생태문명 생각하기?내 삶을 바꾸는 환경철학』(공저, 2018)이 있고, 주요 논문은 “공존의 생태윤리를 위한 대안적 제언 이수관물(以水觀物)”, “『태일생수』에 나타난 물과 생명의 관계방식 고찰”, “삶과 죽음 그리고 자유에 대한 해석학적 접근”, “21세기 생태담론, 거피취차”, “수평사회를 지향하는 성인의 ‘자(自)’ 연구”, “신뢰사회의 원형 탐구”, “사유력 강화의 방법론, 불언지교” 등이 있다.
행복의 전제 조건, 자유
01 북명과 남명
02 지식과 행복
03 닫힌 지식과 열린 지식
04 안지약명
05 삶과 죽음
06 비움의 철학
07 시선의 감옥
08 상처의 치유
09 왕태의 불언지교
10 행복
지은이
이 책을 대출한 회원이 함께 대출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