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상사
이 저서를 씀에 있어서 필자는 몇 가지 문제가 제기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우선 한국유가경세사상사라는 학문 장르가 성립될 수 있을 것인가?
그리고 한국유가사상은 중국의 유가사상과 다른 독자적인 연구영역과 존재의미를 가지고 있는가? 그리고 한국유가경세사상은 한국 국민과 민족의 정치·경제·문화·법률·제도 등 다양한 생존방식을 고양시키는데 기여했으며, 또한 한국의 유가경세사상이 각 시대의 역사적 사실들에 있어서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가? 그리고 각 시대의 유가경세사상들은 상호 유기적 관계를 가졌으며, 그것들이 한국역사의 발전에 기여하였는가?
필자는 한국유가경세사상사를 집필함에 있어서 몇 가지 점을 고려했다. 첫째, 유가경세사상사라는 점을 고려하여 여기서 다루는 사상가의 유학적 관점은 무엇인가?, 둘째, 사상사라는 점을 고려해서 이전의 경세사상과 그 후의 경세사상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경세사상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각 시대의 유가경세사상과 그 시대의 현실상황과 관계는 어떠한가?, 넷째, 한국유가경세사상이 시대를 초월해서 어떠한 공통점을 갖고 있는가?, 마지막으로 한국유가경세사상이 한국사회의 발전에 있어서 긍정적이건 부정적이건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
고려대학교 철학과 동대학원
원광대학교 철학박사
현 대불대학교 사회과학부 교수
저서 : 철학의 이해, 창문각
역서 : 역사철학입문, 연음사
신유학사상의 전개 1 2, 형설출판사
제1장 유학의 성립과 한국 도입
제2장 삼국시대의 유가경세사상
제3장 고려시대의 유가경세사상
제4장 고려 말 성리학의 도입과 유가경세사상
제5장 여말선초의 유가경세사상
제6장 조선초기의 관학파 유가경세사상
제7장 조선중기의 사림파 경세사상
제8장 실학파의 경세사상
제9장 화서학파의 척사위정론과 구국사상
제10장 개화파의 경세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