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조선의 보물 이야기

조선의 보물 이야기

저자
유자후
출판사
온이퍼브
출판일
2019-06-20
등록일
2019-10-21
파일포맷
EPUB
파일크기
0
공급사
북큐브
지원기기
PC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현황
  • 보유 1
  • 대출 0
  • 예약 0

책소개

우리나라의 보물과 보화의 화폐는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이 책은 저자인 한한자 유자후 선생의 조선 화폐(보화)에 관해 간략히 정리한 글로, 상고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이르기까지 등장했던 일종의 ‘화폐’를 개괄적으로 일부 소개한 글이다.

왕건 태조는 전보(錢寶)의 사용을 반대하였다. 그 이유는 당시 발해를 짓밟고 배반한 신의가 없는 거란이 전폐(錢幣)를 사용하므로 제도를 같이할 수 없다는 데 있었다. 그리하여 금견(錦絹)과 은그릇 등 화폐(貨幣)를 사용하도록 하였다.
이성계 때에 고려의 은병폐(銀甁幣)를 그대로 사용하는 동시에 조선통보(朝鮮通寶)를 주조하여 사용하였다.
태종은 대형조선통화(大形朝鮮通貨)와 고려의 저화제도(楮貨制度)를 부활하여 이 저화(楮貨)는 현대의 태환제도(兌換制度)로 현종 때까지 통화로 사용하였다.
세종도 조선통화를 개량 다시 주조하여 만들었고 세조는 전폐(箭幣)라고 하는 것을 발행하여 군사 경제에 두 가지를 이룰 목적으로 하는 화폐로 삼았다.〈본문 중에서〉

화폐의 근원에 따라 현재까지 잊히고 사라진 역사의 연구라고도 할 수 있는 화폐 연구의 좋은 자료이며, 고대에서 현재까지 일부 조선 화폐의 근간을 총론으로 정리한 것이다.

함께 대출한 도서

QUICKSERVICE

TOP